top of page
Archium-02.jpg

Archium

1986 엄이건축에서 분리하여 건축사 사무소 인제건축 설립
establsihed Inje architects

1988 종합 건축사 사무소 인제건축으로 명칭 변경
changed name to Inje architects associates

1995 인제건축을 법인화하여 사무소 명칭을 아르키움(archium)으로 변경
changed name to archium architects Co.Inc

2003 아르키움 대표이사 변경(건축사 정승권)

2016 아르키움 대표이사 변경(건축사 김인철)

김인철

김인철 金仁喆

In-Cheurl Kim

홍익대학교에서 건축을 공부하고 1972년 엄덕문 문하에서 실무를 시작한 뒤 1986년 아르키움 archium을 개설했다.

 

전통의 해석인 ‘열림’을 화두로 작업하며,

건축가협회상, 서울시건축상, 한국건축문화대상, 김수근문화상 등을 수상했다.

 

4•3그룹에 참여했으며, 건국대 건축전문대학원. 홍익대 겸임교수를 거쳐 중앙대 건축학부 교수(2003~2012)로 재직했다.

 

[국가건축정책위원회]의 위원, 사)서울건축포럼의 의장으로 공공건축에 참여했고, 행정복합도시건설청총괄건축가(2018)와 부산광역시총괄건축가(2019~2021)로 활동한 후 아르키움에서 건축작업을 계속하고 있다.

 

2018년 한국건축가협회로부터 GOLD MEDAL을 수상했고

2021년 대한민국정부로부더 옥관문화훈장을 수여받았다..

 

[마당의 사상‐한국건축3인전] (일본 gallery 間 1989) [4•3그룹 건축전](1992), [한국현대건축전](프랑크푸르트, 베를린, 에스토니아, 바르셀로나 2008) 등으로 작업을 발표했다.

 

저서로 [김인철건축작품집](1989) [김옥길기념관](1999 [대화](2002), [공간열기](2011), [바람을 품은 돌집](2014), [바우지움](2016) [오래된 모더니즘-열림](2018)이 있다.

Careers

1972-85 엄덕문 건축연구소

1979 한국건축가협회 정회원

1981 대한건축사협회 정회원

1981-84 목원대학교 건축과 강의

1982 국민대학교 건축과 강의

1985-92 경희대학교 건축과 강의

1986 인제건축 설립, (95년 (주)아르키움으로 변경)

1989-92 4,3 그룹 동인

1990 아시아 건축포럼 참가

1991 한국 건축가 협회 이사

1993 건미준 운영위원 / 서울건축학교 sa 운영위원

1993-95 동국대학교 건축학과 강의

1994 분당건축전람회 초대작가

1994-95 서울시립대 건축학과 강의

1996 홍익대학교 건축과 강의

1997 동국대학교 건축과 겸임교수

1998 건국대학교 건축대학원 겸임교수

2001 파주 출판도시 block 건축가

2001 홍익대학교 건축과 우대 겸임교수

2001 건축가협회 명예이사

2002 헤이리 아트벨리 지명 건축가

2003-12 중앙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교수

2009-11 국가건축정책위원회 위원

2012 건축대전 심사위원장

2013 서울시 건축포럼 의장

2018 세종시 행정복합도시 건설청 총괄건축가

2019-20 부산시 총괄건축가

어반하이브
선생님 사진 복사.jpg

학 력

홍익대학교 건축학과

영국, 런던 AA School of Architecture 대학원 설계전공 (Graduate Design)

​​

​​​

경 력

Foreign Office Architects (FOA) (영국, 런던) 근무

Office for Metropolitan Architecture (OMA)

 (네덜란드, 로테르담) 근무

KPC 건축사사무소 공동대표

홍익대학교 건축학과 겸임교수

숙명여자대학교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겸임교수

이화여자대학교 건축학과 겸임교수

​경기대학교 건축학과 겸임교수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디자인 디렉터

​중앙대학교 건축학과 출강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출강

서울건축학교 튜터 (SA)

한국건축가학교 튜터 (SAKIA)

박태홍 朴泰弘

Tae-Hong Park

Partner

 홍익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졸업하던 해에 제3회 대한민국건축대전 대상을 수상하였으며, (주)범건축에 입사한 후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와 (주)장건축에서 실무를 익혔다. 이후 영국의 AA School GDG(Graduate Design Group)에서 수학하였다. FOA와 OMA에서 다수의 도시 및 건축 프로젝트에 참여하였으며, 귀국 후에는 건축연구소 유토(UTOlabs)를 운영해 오다가 2010년부터 (주)토문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의 부사장을 거쳐 2025년부터 아르키움의 공동대표로 재직 중이다.

 한국건축가학교(SAKIA)와 서울건축학교(SA), 어린이건축학교 등의 여러 건축 교육 프로그램의 튜터로 참여하였고, 서울대학교, 홍익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경기대학교,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등 여러 대학 강단에서 후학 양성에도 힘써 왔다. 또한 철암지역 건축도시작업팀의 일원으로 도시재생 작업에 참여하였으며, 1999년 ‘한국건축 100년전’을 시작으로 ‘이것은 전원주택이 아니다’展, ‘서울에 산다’展, ‘테크노폴리스의 여름나기’展, ‘criss-CROSS’展, ‘국제건축가 드로잉 展’ 등의 전시 활동을 통해 건축과 타 예술 장르, 또는 대중과의 소통에도 관심을 이어 오고 있다.

 주요 작품으로는 사이판 리베라호텔, 설악 한진리조트 등의 리조트 시설부터 부산고속철 역사 국제현상, 은평청소년수련원 현상설계, 청라시티타워 현상설계, 충남도립도서관 현상설계에 이르는 공공건축 현상설계와, 서울대학교 대학원 기숙사, 수원 도시주택(효선재), 아천동 전원주택(토매산방), 문막 아트밸리, 평창 채록연 등을 비롯해, 최근의 리첸시아 방배, 원주혁신도시 B-2·3블록, 판교 단독주택 소소헌, 광주 이이남 스튜디오, 신안군 정치역사 아카이브홀 등 폭넓은 영역에서 활동을 이어 오고 있다. 2011년에는 리첸시아 방배로 제29회 서울시건축상을 수상한 바 있다.

 현재 한국건축가협회 정회원이며, 한국건축가협회 국제협력위원회 상임위원과 서울시 공공건축가, 부산시 공공건축가를 역임한 바 있다.

KakaoTalk_20250808_163100082.jpg

Our Team

허하은
​허하은
Ha-Eun Heo
Designer

cisiky025@naver.com

Tel: 02-2214-9852

김영
​김 영 金 永
Young Kim
Designer
archiky0705@gmail.com

Tel: 02-2214-9852

copyrights ⓒ archium. all rights reserved.

bottom of page